한강편지

매일매일 한강조합에는 무슨 일이?
한강조합의 다양한 소식을 매주 이메일을 통해 받아보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은미 씨의 한강편지 292_샛강 계엄과 제주 4.3

2025-04-03
조회수 246
💌 한강편지가 왔어요!
은미씨의 한강편지 292_샛강 계엄과 제주 4.3


오늘 할아버지 제사입니다

낙천 제사가 아홉 반디라고… 4.3 사건으로 돌아가셨는데 그때는 무지막지하게 쏴 죽이고얼굴은 못 봤어도 좀 그러네…” 

 

평소 단톡방에서 말수가 적은 편인 남동생 현욱이가 오늘 아침 카톡을 올렸습니다그제야 오늘이 할아버지 제사인 줄 알았습니다. 19481229나의 할아버지 조두영은 다른 마을 청년들과 같이 끌려가 고산리에 있는 밭 어디쯤에서 총살을 당했습니다. 1920년생 할아버지는 당시 29그의 큰아들 우리 아버지는 9살이었습니다조두영은 조성동조성웅 두 아들을 두었습니다

 

중산간 마을 낙천리의 이십 대 청년들이 모두 끌려가 죽었던 19481229그 날 겨울바람은 차게 불었을까요흰 눈발이 내리고 있었을까요근처에서 까마귀가 숨을 죽이고 지켜보고 있었을까요

 

총구를 앞에 두고 29살 청년 조두영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현욱이가 아침에 카톡을 올리는 오늘까지나는 단 한 번도 그 생각을 해보지 못했습니다그는 무엇을 보고무엇을 그리워 했을까요무서웠을까요자포자기 했을까요집에 있을 어린 아이들을부엌에 쭈그리고 앉아 배추국을 끓이던 젊은 아내를 떠올렸을까요그도 아니면그 모든 것이 꿈이기를제발 살려주기를간절히 바랐을까요

(2023 12 29일 쓴 문학의 숲 편지’ 글에서


오늘은 제주 4.3 77주기입니다

 

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아침 나절에 기분 좋은 목소리로 전화를 하실 테지요여기 4.3 추념식장에 왔져은덕이도 고찌 왔져대통령도 오고 하영들 와신게

 

4.3 유족인 아버지는 언제부터인가 4.3 추념식 행사에 꼬박꼬박 참석하셨습니다딸이나 아들과 함께 줄지어 놓인 플라스틱 의자에 앉아 대통령이나 국무총리의 추념사를 듣던 아버지를 상상합니다제가 대학에 갓 입학한 91년에 “4.3이 머우꽈?” 물었을 때 아무 말 말앙 공부나 허라.” 하시던 아버지가벼운 봄 점퍼를 입고햇빛을 가릴 모자를 쓰고 앉아 대통령의 말을 듣던 아버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어떤 마음이었을까요

 

4.3 추념식이 끝나면 은덕언니는 아버지를 모시고 명리동 식당이나 고산 횟집으로 갔습니다돼지고기 구이에 김치찌개를 먹거나 물회 한 그릇을 맛있게 드셨지요그리고는 당신이 혼자 사시는 낙천 집으로 돌아갔습니다먼나무 아래 놓인 의자에 앉아 딸을 배웅하며 손을 흔들었습니다



#붉은 피와 동백의 땅 

성후 샘이 4.3 관련 다큐영화 목소리들을 보고 나서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적으셨네요

우선 먼저 든 생각은 앞으로 제주도에 "관광"하러 가기는 쉽지 않겠다는 것이었다저토록 피로 범벅된 땅이라는 걸 새삼 느끼게 한다당시 제주도 인구의 1/10에 해당하는 25천여명의 희생자를 낸 무법천지의 4.3.’ (정성후 샘의 페이스북 글 인용

 

제주 4.3은 오랫동안 말할 수 없는 국가폭력이었습니다성후 샘이 썼듯이 밝혀진 죽음만도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이었죠그러나 빨갱이라는 낙인이 두려워피해자들은 아무 말도 못하고 평생을 살았습니다저 역시 어린 시절 할아버지 제삿날에 왜 그 작은 마을에 아홉 집이나 제삿날인지 몰랐으니까요. 1978년 현기영 작가가 <순이삼촌>을 써서 4.3을 알렸습니다그는 이 소설을 쓰고 끌려가서 고초를 겪기도 했지요. 2000년에 김대중 대통령이 제주 4.3 특별법을 제정하고 나서야, 4.3 진상규명이 시작될 수 있었습니다우리 아버지도 그제야 4.3 유족임을 인정받았습니다

 

일 년에 두세 번은 제주도에 갑니다제주에 가면 언니들과 올레길을 걷는 걸 좋아합니다오름도 자주 올라가죠한 번은 알뜨르 비행장 일대를 걷다가 은희언니가 우묵한 분화구 쪽으로 가리키며 저에게 말했습니다여기가 다 시체가 그득그득 했던 곳이야온통 피가 흘렀겠지… 그 때 은희언니가 그 말을 너무 심상하게 말해서 오히려 아찔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사방에 향기로운 꽃이 피어나고 들풀이 흔들리던 봄날의 오름에서 내던져진 시체가 켜켜이 쌓이고 그 아래로 피가 흘러내려 땅에 스며들던 시간을 상상했습니다그 피를 먹고 피어난 붉은 동백이 77번 피고 지는 세월동안 우리나라는 뭐가 달라졌을까요

 

당장 내일 4 4일은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있는 날입니다수많은 시민들이 파면을 기다리며 안국동에서 광화문 찬 거리에서 밤을 지새우고 있습니다. 2024 12 3일 밤에 국민 앞에 총구를 겨눈 대통령이라는 자를 생각하면수많은 제주 도민들에게 총구를 겨누었던 경찰들과 서북청년단을 연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그 총구가 우리 할아버지를 죽였고아버지를 잃은 우리 아버지는 배고프고 거친 시절을 살았고그 아버지의 딸인 저는 되물림 된 상처를 안고 자랐습니다


#샛강 계엄과 평화

(1인 시위중인 정지환 국장님을 지켜보는 보안관들 ⓒ.정성후

4 1일부터 샛강센터에는 보안관들이 출동하여 로비에 상주하고 있습니다센터를 오가는 시민들은 제복을 입은 그들을 경찰로 여기기도 합니다제복은 힘이 세지요저 역시도 그들을 처음 봤을 때 은근한 두려움이 먼저 들었습니다경찰이 쏜 총에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피가 흘러서 그럴까요몸에 밴 두려움은 어쩔 수 없는가 봅니다샛강센터가 있는 윤중로에는 연분홍 벚꽃이 피기 시작했는데건장한 체격의 보안관들이 지켜선 샛강은 이질감이 듭니다

 

샛강 시민들은 이번 민간위탁 선정 결과를 두고 2.28 샛강 계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자연과 시민을 내쫓는 민간위탁이라는 뜻입니다수달을 비롯한 야생동물을 지키던 한강조합이 쫓겨나면 누가 돌보게 될까요샛강에서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어서 살아가고 있는 시민들은 어떻게 될까요

 

4월 들어 한강애인들은 샛강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고운 샘과 정순 샘은 책을 읽으며정지환 국장님은 세바시처럼 연설을 하며다른 이들은 손수 만들어온 피켓을 들고 길가는 시민들에게 말을 하는 방식으로 합니다시위를 마치면 같이 밥도 나누어 먹습니다그제는 정순 샘이 지리산 산나물과 청국장을 넉넉히 가져오셨고어제는 은희 샘이 직접 만든 물김치와 배추김치를 들고 왔습니다진영 샘은 과천에서 행복찹쌀떡을이상헌 교수님은 소금빵을 사오기도 했습니다저도 계란말이와 김치찌개를 가져갔지요

 

샛강을 지키는 일이 생명과 평화를 지키는 일입니다멸종위기종 수달과 같은 생명들을 지키는 일샛강 공동체가 있어 비로소 행복한 삶이 시작되었다는 시민들의 평화를 지키는 일같이 밥을 먹으며 서로 고마워하는 마음을 지키는 일그 일을 오늘도 이어갑니다

 

제주 4.3 77주년의 아침에

2025.04.03

한강 드림 

(책 읽으며 시위하는 고운 샘과 은희 샘 ⓒ.정성후


프로그램 안내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Office. 02-6956-0596/ 010-9837-0825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3 (성수동 1가, 두앤캔하우스) 305호
후원 계좌사회적협동조합 한강우리은행 1005-903-602443

수신거부 Unsubscribe
한강 편지를 전하는 우체부가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