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미씨의 한강편지 280_1997 병언

페이지 정보

등록자 admin 등록일25-01-09

본문

은미씨의 한강편지 280_1997 병언
28773_2602463_1736382181239882535.jpg

(첫눈에 쓰러진 나무 ⓒ.김현섭)

나무는 눕는다.

 

하얀 얼굴의 눈은 차디찬 미소를 머금고 다가온다 이내 눈은 온몸으로 포옹한다 창백한 해가 다 이울도록 눈은 떠나지 않는다 나무의 우듬지와 잔가지와 여전히 푸르던 잎에 눈은 오래 머무른다 차디찬 눈의 웃음이 시리다 바라보던 나무는 피로하다 나무는 고개를 떨구고 등을 구부린다 나무는 눕는다 쓰러진다 탄식한다 눈은 떠난다 회한도 눈물도 없이

 

작년 11월 말경에 내린 첫눈은 샛강숲의 수많은 나무들을 쓰러뜨렸습니다. 누구는 피해를 입은 나무가 몇 백 그루라고 하고 누구는 천 그루쯤일 거라고 하더군요. 샛강 공원팀장님들은 천 그루도 훨씬 더 된다고 하네요. 1997년도에 샛강숲이 생긴 이래 나무들 일생일대의 가장 큰 시련입니다. 그동안 가시박의 공격과 태풍 링링의 횡포도 견뎌내어 제가 의지나무라고 (Will-ow) 이름지은 그 나무도 굵은 줄기가 처참히 꺾이었습니다. 쓰러진 나무들을 베어내고 잘라내고 솎아내고 치우는 일이 끝도 없습니다.

28773_2602463_1736382222737000141.jpg

(샛강숲에서 유권무 팀장님 ⓒ.김현섭)

어제는 권무 팀장님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그가 하마터면 죽을 뻔했다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무가 그를 쓰러뜨렸기 때문입니다. 권무팀장님과 현섭팀장님은 첫눈 이후 부러지고 쓰러진 나무들을 정리하느라 고생하고 있습니다. 숲 안쪽에 있는 나무들은 작업 차량 접근이 어려워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자르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한 나무가, 엔진톱에 신음하던 나무의 몸통이 한순간에 팀장님 쪽으로 날아왔습니다. 충격으로 사다리와 함께 쓰러진 그는 너무 놀라서 얼이 나갈 정도였습니다.

 

나무의 타격은 오래갔습니다. 심신이 쇠약해진 틈을 타서 감기까지 괴롭혔습니다. 샛강숲의 산신령처럼 숲에 머물며 나무들을 돌보던 그는 이 일로 기백과 자신감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 수많은 나무들을 살리고, 키워내고, 가시박과 환삼덩굴을 걷어주며 햇살 아래로 초대하는 것이 그의 일입니다. 그는 쉴 새 없이 일하고 파김치가 되기 일쑤입니다. 제가 재작년 겨울에 한강편지에 그가 일하는 모습을 이렇게 썼네요.

 

영하의 날씨였던 어느 날은 그를 종일 못 봐서 나가보았습니다. 작업복 위로 눈에 잘 띄는 주황빛 조끼를 걸친 그의 얼굴은 추위로 벌겋게 얼어 있었습니다.’

 

쓰러진 나무들을 베어내고 치우고 나니, 샛강숲을 걸을 때 벌써 휑한 느낌입니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사람 일만 그런 것이 아닌가 봅니다. 힘겹게 살아남은 나무들은 이 시련을 잘 이겨내면 좋겠습니다. 돌보던 나무에게 타격을 입은 권무팀장님도 온전히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여전히 눈도 내리고 바람도 불고, 지친 나무들에게는 시련의 겨울입니다. 나무 곁을 지날 때, 나무들에게 봄이 멀지 않았다고 속삭여줘야겠습니다.

28773_2602463_1736382272743089818.jpg

(2025년 샛강에 돌아오다 ⓒ.최병언)

#1997 병언

작년에 영화 ‘땅에 쓰는 시’가 개봉되어 정영선 조경가가 많이 조명되었습니다. 여의도샛강 생태공원의 탄생에 그가 기여한 것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지요. 실제로 그 영화를 보고 샛강생태공원이 궁금해서 찾아와본 시민들도 계셨습니다. 그러나 샛강생태공원이 정영선 조경가만의 결실은 아닙니다. 서울시립대 이경재 교수님, 최병언 공무원, 그리고 정영선 조경가가 합심하며 탄생시킨 우리나라 1호 생태공원입니다.

 

공원이 조성되고 나서는 그는 공무원으로서 유지관리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는데요. 이 시기 동안 생태모니터링을 하고 그 결과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이라는 주제의 석사 논문도 쓰게 됩니다. 샛강생태공원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최병언 박사님이 새해 들어 다시 샛강으로 돌아왔습니다. 공무원으로 정년퇴직하고 이런저런 공부와 사업을 하다가 한강조합에 전격 결합하신 것입니다. 삼십 대의 청년이던 최병언이 육십 대의 노련한 최병언 박사가 되어 샛강숲을 다시 걷습니다. 1997년 어린 버드나무로부터 시작한 샛강숲이 이렇게 울창한 도심 속 원시 자연이 된 것에 대하여 자긍심이 크겠죠. 한편 눈 때문에 쓰러진 나무들 때문에 마음이 아프기도 할 것 같아요.

 

세월이 흐르고 흘러, 다시 샛강에서 일을 시작하는 그의 마음을 상상해봅니다. 어떤 운명의 씨줄과 날줄이 그를 다시 샛강으로 이끌었을 겁니다. 청년 최병언의 꿈이, 노년 최병언의 비전이 한강과 샛강에서 잘 펼쳐지기를 응원해봅니다.

28773_2602463_1736382423626659269.jpg

(초창기 샛강생태공원 모습 ⓒ.최병언)

28773_2602463_1736382452301626424.jpg

(샛강에서 안내하는 최병언 공무원 ⓒ.최병언)

새해를 시작하며 이렇게 최병언 박사님이 합류하고, 또 여주지부에서는 남윤미 과장님이 일을 시작합니다. 몇 년 쉬었던 여주지부가 다시 활기를 찾습니다. 앞으로 종종 들려올 여강 소식에도 귀를 기울여주세요.

 

연말연시를 지나며 여전히 어수선한 정국이지요. 마음이 산만하고 불편해서 그런지 이번 주말로 다가온 한강유람단 참여가 저조하네요. 이럴 때일수록 자연을 더 가까이하셔야 힘이 납니다.

 

추워진 날씨에 건강 유의하세요.

2025.01.08

한강 드림

12월 한강편지 후원자 명단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정기후원]

(주)렛그린 강고운 강명구 강성권 강성만 강원재 강찬병 강태환 경규명 고건순 고대현 공정미 곽나영 곽정난 구다은 권남희 권명애 권태선 기경석 김갑중 김경숙 김규원 김다은 김달수 김도진 김래영 김명숙 김명신 김명자 김문자 김미란 김미숙 김미정 김미현 김병선 김상기 김석환 김선영 김성준 김성진 김수종 김양경 김영 김영경 김영숙 김예진 김완구 김용덕 김용수 김용진 김용찬 김원 김율립 김은경 김인경 김인희 김자경 김재현 김정순 김종연 김주철 김진숙 김진형 김진희 김창수 김창영 김철기 김해숙 김향희 김현섭 김현수 김혜현 김홍재 김효근 김희 김희영 나언성 나정희 나종민 남광우 남윤숙 남윤희 남진현 남현주 명재성 명정화 문상원 문순심 문옥자 민경훈 민난주 민병권 박경만 박경화 박광선 박근용 박미경 박미정 박비호 박선후 박성우 박성희 박소영 박소윤 박수정 박애란 박영미 박영선 박영희 박이사벨 박재원 박종옥 박종학 박종호 박주희 박창식 박평수 박향미 박현진 박혜영 배은덕 백명수 백소영 백윤미 백은희 법무법인 한울 생태미식연구소 서광석 서미윤 석락희 성무성 성준규 송선옥 송예진 송은주 송은희 송진이 송채원 신동인 신동학 신동훈 신석원 신재은 신향희 신현숙 신혜양 심봉섭 심은영 심재훈 아름다운 성형외과 안경선 안동희 안상모 안숙희 안영미 안재홍 안정호 안정화 양경모 양금자 양승윤 양지특허법률사무소 양충모 양해경 엄은희 염경덕 염형철 오경자 오미화 오수길 오창길 오현진 온수진 원동업 원미영 유권무 유선희 유영아 유현미 유형식 육현표 윤상희 윤영희 윤유선 윤주옥 이강인 이경순 이경화 이규철 이로울 이미란 이바다 이상명 이상범 이상수 이상영 이상원 이상헌 이상호 이상희 이선미 이소미 이수용 이숙희 이승규 이안나 이영옥 이영원 이영현 이왕용 이용태 이원락 이유정 이유지 이유진 이윤정 이은선 이인현 이재권 이재용 이재은 이재학 이정든 이정미 이정심 이정옥 이정원 이정윤 이정은 이정효 이종미 이종훈 이지숙 이진 이진미 이철수 이태화 이한진 이혜원 이호준 이효미 이희예 임선양 임설희 임윤정 장덕상 장영탁 전민용 전주경 전하나 정경화 정길화 정명희 정미나 정미주 정상용 정석 정성후 정수근 정애란 정영원 정용숙 정용원 정원락 정은영 정의수 정재원 정제혁 정지만 정진주 정혜진 정희걸 정희규 정희남 조경원 조경환 조성훈 조수정 조윤경 조은덕 조은미 조은민 조은애 조은철 조은희 조정선 조현욱 조현철 조혜진 조호진 조희경 지용주 차봉숙 차재학 차지연 최병언 최봉석 최성미 최시영 최윤주 최정연 최정해 최종인 최진우 최진화 최충식 최한수 최현식 표정옥 하정심 한경미 한석찬 한석호 한정미 한지은 한창희 함정희 허돈 홍미경 홍선 홍순복 홍영선 홍효정 황수현 황영심

 

[특별후원]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인력개발원 강고운 곽진영 김명숙 김선영 김정순 김정옥 미쉐린코리아(주) 박이사벨 배점태 사단법인 지구행동 신석원 양경모 양지특허법률사무소 윤주옥 이상훈 이안나 이영원 이원락 이재학 이정원 이종미 임현진 재단법인 한국세계자연기금 정성후 정지환 조은덕 조은미 조은애 주식회사 미르숲생태연구소 주식회사 이노션 체리플랫폼 최수경 터치포굿 표정옥 함정희 허삼용

 

[신규 조합원]

김정화 김현정 박현숙 양재희 오금님 이성순 이주안 피진희 황현주

이주의_한강은? 

Preview

음식은 꼭 이렇게 해야만 제 맛이 난다는 식의 “틀렸다, 이렇게 해야만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라는 식으로 생각하고 외부의 권위자에게 의견을 구하는 것 보다 맛에 대한 기억이 뇌에 가장 오래 저장된다고 하니까 그동안 내가 먹어왔던 오래된 맛의 기억(엄마의 손맛)을 더듬어 그와 비슷한 맛을 낼 수 있을 것 같은 여러 식재료들을 가지고 실재로 오랜 시간 내 손으로 해 보면서 여러 시행착오 끝에 내 맛을 찾아가는 여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오늘은 아주 간단하지만 깊은 맛을 내기가 쉽지 않은 푸근한 미역국 어떠세요 여기에 요즘 제철 굴이나 홍합 바지락을 넣어도 좋고, 소 양지머리나 국거리를 넣어도 좋지만

프로그램 안내
104091_1706509210.png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Office. 02-6956-0596/ 010-9837-0825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3 (성수동 1가, 두앤캔하우스) 305호
후원 계좌사회적협동조합 한강우리은행 1005-903-602443

수신거부 Unsubscribe
104091_1706509282.png
homepage2-snsA.pngchannel-snsA.pnginstagram-snsA.pngfacebook-snsA.pngtwitter-snsA.pngblog-snsA.pnghomepage-snsA.png
한강 편지를 전하는 우체부가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