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강천보 수문 열었더니 꾸구리·쉬리가 찾아왔다

페이지 정보

등록자 coophangang 등록일22-02-15

본문

보 개방 뒤 보호종 21종까지 서식 확인
환경단체, 모니터링 제한한 환경청에
“협의 부족” 인정…허가범위 놓곤 이견
여주 남한강 일대.
여주 남한강 일대.

문재인 정부가 4대강 복원 사업을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한강과 낙동강 본류에 대해서는 보의 수문을 열고 닫았을 때 어떤 생태변화가 있는지 모니터링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여주 일대를 흐르는 한강 강천보 수문을 열자 시민들이 직접 생태 모니터링을 나선 결과, 물이 다시 흐르자 여울이 생기고 서식지를 옮겼던 민물고기가 다시 나타났다.

지난 12일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소속 회원과 (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회원 등 29명은 여주 남한강이 흐르는 삼합리권(한강 본류와 섬강 합수부) 변화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기 위해 현장을 찾았다.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2일까지 3~4차례 현장을 찾았다는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이완옥 회장은 물이 흐르자 없던 여울이 생겨 민물고기를 최대 60~70마리, 21종까지도 발견했다고 현장 상황을 설명했다. 이 회장은 14일 <한겨레>에 “팔당댐이나 한강에 보가 생긴 뒤 본류에 살던 민물고기들이 지류나 상류로 서식지를 옮겼는데 강천보 개방 이후 삼합리 부근에 여울이 생겼다. 여울에 사는 꾸구리와 쉬리 같은 민물고기 등은 조사할 때마다 발견됐다”고 말했다.

12일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회원 등이 여주 한강 일대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12일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회원 등이 여주 한강 일대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4대강 복원은 이명박 정부의 정책으로 설치했던 보를 철거할 것인지, 철거하지 않더라도 수문을 개방해 물이 흐르게 할 것인지 등 대안을 논의해 보자는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와 농민들이 농업용수 확보 등을 이유로 보 개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남아있고 기존 정부의 정책적 결정을 뒤집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었다. 영산강과 금강은 지역 주민과의 합의 끝에 문 정부 후반기인 지난해 최종 결정을 했지만, 한강과 낙동강은 아직 기초 데이터 수집도 못 하는 실정이다.

강천보 보를 일부 연 뒤의 농민들 피해 가능성에 대해 김영경 ‘한강’ 과장은 “강천보 쪽은 농민들의 물 부족 피해가 없다. 오히려 최근 강변에 전원주택단지들이 들어서서 지하수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해 보 개방 수위를 한번에 (개방)할 때 20㎝에서 10㎝로 더 줄이면서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강 쪽은 강천보 수문은 약 4m가 되는데 지난해 12월 이후 두달여 동안 20~30㎝씩 모두 1m를 열어 수문을 3m(해발고도로는 38m에서 37m)로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도리강변 쪽에 모래톱이 약 200m 이상 길게 드러났다고 강조한다.

꾸구리는 멸종위기2급 보호종으로 한강, 금강 일대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이다. 한강 쪽은 이날 오전부터 오후 2시께까지 세 곳에서 물고기를 잡은 뒤 마릿수만 확인하고 바로 방류했다고 주장했다.

12일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회원 등이 여주 한강 일대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12일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회원 등이 여주 한강 일대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포획 후 바로 방류 주장…“환경청 허가는 받지 못한 것은 불찰”

그러나 한강유역환경청에서는 이 단체 쪽에 모니터링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한 바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이완옥 회장은 “물고기를 번식하거나 죽일 경우에는 환경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단지 모니터링을 위해서라면 그 자리에서 바로 살려준다. 허가를 다 받으면 사실상 연구가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염형철 ‘한강’ 대표는 “환경청과 협의를 했다고 생각했으나 협의되지 않은 측면이 있었던 것은 우리측 불찰이 맞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주도해 조심스럽게 민물고기를 포획한 뒤 바로 방류했는데도 문제제기를 한다면 모니터링을 하지 말라는 꼬투리 잡기”라고 덧붙였다.

최우리 기자 [email protected], 사진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